룬 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룬 문자는 주술이나 의식에 사용된 신비로운 문자로 소개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일상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1세기경 게르만어의 발음 체계에 맞춰 개량되어 성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룬 문자는 북유럽을 중심으로 사용되었으며, 앵글로색슨 룬 문자와 같은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룬 문자는 24자에서 16자로 축약되었으며, 철자법의 특징을 갖는다. 룬 문자는 일상생활, 주술, 종교적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대중문화와 룬 점술에 활용된다. 유니코드에도 룬 문자가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룬 문자 - 소 푸타르크
소 푸타르크는 9세기부터 스칸디나비아에서 사용된 룬 문자로, 고대 푸타르크에서 발전하여 16개의 문자로 구성되었으며, 음운 변화를 반영하여 룬 수가 줄고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며, 후대 룬 문자 체계의 기반이 되었다. - 룬 문자 - 고대 영어
고대 영어는 5세기 앵글로색슨족의 브리튼 섬 정착 이후 11세기 노르만 정복까지 사용된 서게르만어로, 북해 게르만어 방언에서 발전하여 현대 영어의 기반을 이루었으며, 켈트어, 라틴어, 고대 노르드어의 영향을 받아 《베오울프》, 《앵글로색슨 연대기》 등의 주요 문헌을 남겼다. - 음소 문자 - 에트루리아 문자
에트루리아 문자는 기원전 8세기경 서방 그리스 문자를 바탕으로 에트루리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26자에서 시작하여 에트루리아어에 맞게 변형되었고, 라틴 문자를 비롯한 여러 고대 이탈리아 문자에 영향을 미쳤다. - 음소 문자 - 아베스타 문자
아베스타 문자는 4세기경 팔레비 문자에서 발전하여 아베스타어의 음운 체계를 정확히 반영하기 위해 모음을 명확히 구별하는 완전한 알파벳 형태로 개발되었으며, 37개의 자음과 16개의 모음으로 구성되어 유니코드에 등록되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룬 문자 | |
---|---|
룬 문자 정보 | |
문자 이름 | 룬 문자 |
문자 유형 | 음소 문자 |
표기 언어 | 고대 게르만어 |
사용 시기 | 2세기 |
문자 계통 | 원시 시나이 문자 원시 가나안 문자 페니키아 문자 그리스 문자 고 이탈리아 문자 |
![]() | |
고대 노르드어 관련 정보 | |
관련 언어 | 고대 노르드어 |
방언 | 서노르드어 고대 아이슬란드어 고대 노르웨이어 그린란드 노르드어 동노르드어 고대 덴마크어 고대 스웨덴어 고대 고틀란드어 |
사용법 | 철자법 룬 문자 대 푸타르크 소 푸타르크 푸토르크 라틴 문자 문법 음운론 형태론 |
문학 | 시문학 에다 스칼드 사가 포르날다르 사가 아이슬란드 사가 사트르 제1문법논문 |
조상 언어 | 인도유럽조어 게르만 조어 노르드 조어 |
후손 언어 | 덴마크어 페로어 아이슬란드어 노른어(사멸) 노르웨이어 스웨덴어 |
기타 | 노르드 어원의 영어 낱말 목록 |
2. 역사
룬 문자는 종종 "주술이나 의식에 사용되었던 신비로운 문자"로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일상적인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룬 문자로 쓰인 편지나 짐표 등도 많이 남아 있다. 주술에도 사용되었지만, 이러한 경향은 오히려 라틴 문자가 보급되고 룬 문자의 고풍스러움이 신비롭게 느껴지게 된 이후에 더 두드러졌다.[2]
2. 1. 기원
1세기경 그리스 문자, 라틴 문자, 북이탈리아 문자 등을 참고하여 게르만어 발음 체계에 맞춰 개량, 성립된 것으로 추측된다. 룬 문자의 기원설로는 학자들 사이에서 북이탈리아 설이 가장 유력하다.[2]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룬 문자는 북독일에서 출토된 1세기 유물인 브로치에 새겨진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브락테아트(Brakteaten)라고 불리는 얇은 금으로 만든 원반에 룬 문자를 새긴 것이 많이 발견되었는데, 부적을 겸한 장신구로 사용되었다.개별 문자를 룬(rune)이라고 부르며, 룬 문자의 알파벳을 처음 여섯 글자에서 따 "푸사르크"(fuþark)라고 부른다. 이 중 세 번째 룬 문자(þ)는 소른(thorn, þotn)이라고 불리며, 현대 아이슬란드어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원래는 나무 조각 등에 칼로 새겨서 표기했다. 따라서 나무결과 섞여 읽기 어려워지는 가로선은 피하고, 세로의 긴 선과 비스듬한 짧은 선을 조합한 자형이 되었다.[3]
3. 종류
룬 문자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주요 룬 문자로는 게르만 공통 룬 문자, 북유럽 룬 문자, 앵글로색슨 룬 문자 등이 있다.
3. 1. 게르만 공통 룬 문자
게르만족이 공통적으로 사용했던 초기 룬 문자를 게르만 공통 룬 문자라고 한다.룬 문자 | 로마자 표기 | IPA | 원시 게르만어 이름 | 의미 |
---|---|---|---|---|
f | 훼후(fehu) | 부귀, 소(가축) | ||
u | 우루즈(ūruz) | 들소 (혹은 우람(ûram) "물/찌꺼기") | ||
þ | 쑤리사즈(þurisaz) | 신 토르, 거인 | ||
a | 안수즈(ansuz) | 아스 신 | ||
r | 라이도(raidō) | 승차, 여행 | ||
k (c) | 카우난(kaunan) | 궤양 (혹은 케나즈(kenaz) "횃불") | ||
g | 게보(gebō) | 선물 | ||
w | 우뇨(wunjō) | 즐거움 | ||
h | 하글라즈(hagalaz) | 우박 | ||
n | 나우디즈(naudiz) | 필요 | ||
i | 이사즈(īsaz) | 얼음 | ||
j | 예란(jēra-) | 년, 풍년, 수확 | ||
ï (æ) | (?) | 에이하즈(ī(h)waz/*ei(h)waz) | 주목 나무 | |
p | 페르쏘(perþ-) | 불분명, 아마도 배 나무 | ||
z | 알기즈(algiz) | 불분명, 아마도 엘크(elk) | ||
s | 소윌로(sōwilō) | 태양 | ||
t | 티와즈(tīwaz/*teiwaz) | 신 티르 | ||
b | 베르카난(berkanan) | 자작 나무 | ||
e | 에화즈(ehwaz) | 말 | ||
m | 만나즈(mannaz) | 남성 | ||
l | 라구즈(laguz) | 물, 호수 (혹은 라우카즈(laukaz) "리크(leek)") | ||
ŋ | 잉과즈(ingwaz) | 신 잉그비(Ingwaz) | ||
o | 오쌀란(ōþila-/*ōþala-) | 유산, 자산, 소유 | ||
d | 다가즈(dagaz) | 낮 |
라틴 문자 표기 | 명칭 (의미) | 표현 가능한 발음 | 형태의 유래 |
---|---|---|---|
f | * (재산, 가축. fee|피영어와 Vieh|피de의 어원) | , | 라틴 문자 F의 가로획을 비스듬히 한 형태 |
u | * (원시 소) | 라틴 문자 U를 거꾸로 한 형태 | |
þ | * (거인, 괴물, þorn|쏜ang(가시, 찔레)) | , | 가시의 형태 또는 그리스 문자 Φ |
a | * (신, 아스) | 라틴 문자 A의 오른쪽 세로획을 짧게 한 형태 | |
r | * (승마, 탈것. ride|라이드영어, road|로드영어와 같은 어원) | 라틴 문자 R | |
k | * (고대 노르드어: , 종기, 고통) * (cén|켄ang, 소나무, 횃불) | 라틴 문자 C | |
g | * (선물. gift|기프트영어, give|기브영어와 같은 어원) | 그리스 문자 Χ | |
w | * (기쁨) | 라틴 문자 V를 왼쪽으로 기울인 형태 | |
h | * (우박, 강수. hail|헤일영어의 어원) | 라틴 문자 H의 가로획을 비스듬히 한 형태 | |
n | * (결핍, 갈망. need|니드영어와 같은 어원) | 라틴 문자 N의 오른쪽 세로획을 생략 | |
i | * (얼음. ice|아이스영어의 어원) | 라틴 문자 I | |
j | * (년, 수확. year|이어영어의 어원) | 불명 | |
ü, é | * (주목나무, 사냥, 설신 울). yew|유영어의 어원) | 와 사이()에 가까운 소리로 추정됨. | 불명 |
p | *? (불명, 오락?, 배나무?) | 그리스 문자 Π를 왼쪽으로 기울인 형태 | |
z, R | *? (불명, 붉은 사슴?, 생명?) | , | 불명 |
s | * (태양, 태양의 빛) | 라틴 문자 S를 직선으로 그린 형태 | |
t | * (전쟁의 신 티르, 싸움) | 라틴 문자 T의 가로획을 비스듬히 한 형태 | |
b | * (자작나무 가지, 봄의 각성, 풍요. birch|버치영어의 어원) | 라틴 문자 B | |
e | * (말) | 라틴 문자 E를 오른쪽으로 기울인 형태 | |
m | * (인간, 인간성. man|맨영어과 동일) | 라틴 문자 M | |
l | * (물. lake|레이크영어와 같은 어원) | 라틴 문자 L을 거꾸로 한 형태 | |
ŋ, ng | * (신 또는 영웅의 이름. 한 설에는 풍요의 신 프레이의 호칭) | , | 불명 |
o | * (세습 토지, 영토, 조상의 땅) | 라틴 문자 O를 직선으로 그린 형태 | |
d | * (낮, 낮. day|데이영어, Tag|타크de 등의 어원) | 라틴 문자 D를 좌우로 두 개 나란히 한 형태 |
이 형태는 어디까지나 한 예시이다. 실제 문자에서는 위의 것들이 거꾸로 되어 있거나, 위아래가 뒤집힌 것도 있다.
명칭은 게르만 공통 조어의 재구 형태이다. 실제 어딘가에 기록되어 있던 것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비교 언어학상에서 추정된 것이므로, 역사적 사실과 다를 가능성도 있다. 발음도 마찬가지이므로, 어디까지나 근사치로 이해해야 한다.
8세기경까지 게르만어권 전역에서 사용되었다.
룬 문자 알파벳 순서는 '푸사르크(fuþark)'라고 불리는데, 이는 처음 여섯 글자(ᚠ ᚢ ᚦ ᚨ ᚱ ᚲ)를 로마자 표기(f u þ a r k)대로 읽은 것이다. 특히 세 번째 룬 문자인 '쏜(þ)'은 아이슬란드어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3. 2. 북유럽 룬 문자
8세기경부터 북유럽을 중심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룬 문자이다.문자 수는 게르만족 공통 룬 문자의 24자에서 16자로 줄었다. 한편, 이 시기의 고대 노르드어는 음운 변화에 의해 음의 수가 크게 증가했기 때문에, 하나의 문자로 여러 개의 음을 표기하게 되었다.
철자법의 특징으로는, 이중 자음이나 같은 종류의 자음 뒤에 오는 비음이 생략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왕"을 의미하는 konungr은 o 대신 '''u'''를, g 대신 '''k'''를 사용하고, g 앞의 n을 생략하여 '''kunukr''' 또는 '''kunukR'''처럼 표기되었다. 마찬가지로 "왕족, 군주"를 의미하는 dróttinn은 '''trutin'''처럼 표기되었다.
다음은 각 문자의 라틴 문자 표기, 명칭과 의미, 표현할 수 있는 발음을 나타낸 표이다.
라틴 문자 표기 | 명칭 (의미) | Noreen식 라틴 문자 표기와 표현 가능한 발음 |
---|---|---|
f | fé (가축, 재산) | f[f],[v] |
u | úr (노르웨이어로 잔재. 아이슬란드어로 이슬비) | u[u] ú[u:] y[y] ý[y:] o[o] ó[o:] ø[ø] œ[œ:] v[v],[w] |
þ | þurs (거인, 괴물, 악마) | þ[θ] ð [ð] |
ą , o | ą´ss , óss (아스가르드 신족) | ą[a:],[ã] ǫ [ɔ](넓은 오) ǫ´[ɔ:] o[o] ó[o:] |
r | reið (승마) | r [r] |
k | kaun (종기) | k [k],[kj],[x] nk[ŋk] g[g],[gj],[γ],[j] ng[ŋg] |
h | hagall (우박) | h [h] |
n | nauð (필요) | n [n] |
i | íss (얼음) | i[i] í[i:] e[e] é[e:] æ[æ:] j[j] |
a | ár (년) | a[a] á[a:] æ[æ:] ǫ [ɔ] ǫ´[ɔ:] o[o] ó[o:] |
s | sól (태양) | s[s] |
t | týr (전쟁의 신 티르) | t[t] nt[nt] d[d] nd[nd] |
b | bjarkan (자작나무) | b [b] mb[mb] p[p],[f] mp[mp] |
m | maðr (남자) | m[m] |
l | lǫgr (물) | l[l] |
R | ýr (주목) | R[r] |
글꼴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특히 긴 가지 룬(장지 룬)과 짧은 가지 룬(단지 룬)이 널리 사용되었다.
덴마크식 룬 문자라고도 불리지만, 실제로는 다른 지역에서도 사용되었다. 룬 문자의 해서체라고 할 수 있다.
스웨덴형 룬 문자 또는 노르웨이형 룬 문자라고도 불리지만, 다른 지역에서도 사용되었다. 장지 룬 문자의 획수를 생략한 것으로, 룬 문자의 해서체라고 할 수 있다.
룬 문자의 초서체라고 할 수 있다. 왼쪽에 있는 긴 선을 생략하여 획수를 줄인 것이다. 10세기부터 11세기경 스웨덴에서 사용되었다.
3. 3. 앵글로색슨 룬 문자
5세기경부터 프리슬란트와 잉글랜드에서 사용되었다. 9세기경부터 사용이 줄어들기 시작하여 11세기 중반에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게르만 공통 룬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a, o, æ 문자가 구별되는 등 고대 영어와 고대 프리지아어의 음을 보다 정확하게 표기할 수 있도록 문자가 추가되었다.[1]
4. 룬 문자와 사회
룬 문자는 종종 "주술이나 의식에 사용되었던 신비로운 문자"로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일상적인 용도로도 많이 사용되었다. 룬 문자로 쓰인 편지나 짐표 등이 그 예시이다. 1세기경 그리스 문자, 라틴 문자, 북이탈리아 문자 등을 참고하여 게르만어 발음에 맞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학자들 사이에서는 룬 문자의 기원에 대해 북이탈리아 설이 가장 유력하다.[2]
개별 문자를 룬(rune)이라고 하며, 룬 문자 알파벳의 처음 여섯 글자를 따서 "푸사르크"(fuþark)라고 부른다. 이 중 세 번째 룬(þ)은 소른(thorn, þotn)이라고 불리며, 현대 아이슬란드어에서도 사용된다.
원래 룬 문자는 나무 조각 등에 칼로 새겨 표기했기 때문에, 나무결과 섞여 읽기 어려운 가로선은 피하고, 세로선과 비스듬한 짧은 선을 조합한 형태가 되었다.[3]
4. 1. 주술적, 종교적 의미
룬 문자는 "주술이나 의식에 사용되었던 신비로운 문자"로 소개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일상적인 목적으로도 사용되었으며, 룬 문자로 쓰인 편지나 짐표 등도 많이 남아 있다. 주술에도 사용되었지만, 그것이 성행하게 된 것은 오히려 라틴 문자가 보급되고 룬 문자의 고풍스러움이 신비롭게 느껴지게 된 시대에 들어서부터이다.1세기 유물인 브로치에 새겨진 룬 문자 외에도 브락테아트(Brakteaten)라고 불리는 얇은 금으로 만든 원반에 룬 문자를 새긴 것이 많이 발견되었는데, 부적을 겸한 장신구로 사용되었다.
룬 문자를 새긴 돌, 나무, 금속, 유리 등을 사용하여 점을 치는 방법이 있다. 점술 방법은 고대부터 모든 룬을 던진 후 하나를 집는 캐스팅(casting)이라는 방법이 있었지만, 현재는 모든 룬을 주머니에 넣고 질문을 염두에 두면서 손을 집어넣어 하나를 꺼낸 룬 문자를 답으로 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 외 최근에는 종이에 인쇄된 룬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4]
5. 현대의 룬 문자
현대에 들어서 룬 문자는 과거의 신비로운 이미지를 벗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게르만족의 전통을 중시하는 북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룬 문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룬 문자는 장식적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룬 문자의 독특한 모양은 보석, 의류, 액세서리 등에 새겨져 디자인적인 가치를 더하며, 룬 문자를 소재로 한 예술 작품이나 문학 작품도 등장하여 그 문화적 영향력을 보여준다.
5. 1. 룬 점
룬 문자를 새긴 돌, 나무, 금속, 유리 등을 사용하여 점을 치는 방법이다.[4] 고대부터 모든 룬을 던진 후 하나를 집는 캐스팅(casting)이라는 점술 방법이 있었지만, 현재는 모든 룬을 주머니에 넣고 질문을 염두에 두면서 손을 집어넣어 하나의 룬 문자를 답으로 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 외 최근에는 종이에 인쇄된 룬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요시다 후카코(吉田深保子)에 따르면, 룬이 체계적인 "점술"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후반부터라고 한다.[4]
6. 유니코드
유니코드 3.0에서 룬 문자가 포함되었다. 유니코드에 포함된 룬 문자는 언어에 따라 구분되지 않으며 단순히 문자의 모양을 기준으로 정리되어 있다. 룬 문자 표 (U+16A0–U+16EA)는 다음과 같다.
위치 | 문자 | 설명 | 위치 | 문자 | 설명 | 위치 | 문자 | 설명 | 위치 | 문자 | 설명 | 위치 | 문자 | 설명 |
---|---|---|---|---|---|---|---|---|---|---|---|---|---|---|
16A0 | ᚠ | fehu feoh fe f | 16B0 | ᚰ | on | 16C0 | ᛀ | dotted-n | 16D0 | ᛐ | short-twig-tyr t | 16E0 | ᛠ | ear |
16A1 | ᚡ | v | 16B1 | ᚱ | raido rad reid r | 16C1 | ᛁ | isaz is iss i | 16D1 | ᛑ | d | 16E1 | ᛡ | ior |
16A2 | ᚢ | uruz ur u | 16B2 | ᚲ | kauna | 16C2 | ᛂ | e | 16D2 | ᛒ | berkanan beorc bjarkan b | 16E2 | ᛢ | cweorth |
16A3 | ᚣ | yr | 16B3 | ᚳ | cen | 16C3 | ᛃ | jeran j | 16D3 | ᛓ | short-twig-bjarkan b | 16E3 | ᛣ | calc |
16A4 | ᚤ | y | 16B4 | ᚴ | kaun k | 16C4 | ᛄ | ger | 16D4 | ᛔ | dotted-p | 16E4 | ᛤ | cealc |
16A5 | ᚥ | w | 16B5 | ᚵ | g | 16C5 | ᛅ | long-branch-ar ae | 16D5 | ᛕ | open-p | 16E5 | ᛥ | stan |
16A6 | ᚦ | thurisaz thurs thorn | 16B6 | ᚶ | eng | 16C6 | ᛆ | short-twig-ar a | 16D6 | ᛖ | ehwaz eh e | 16E6 | ᛦ | long-branch-yr |
16A7 | ᚧ | eth | 16B7 | ᚷ | gebo gyfu g | 16C7 | ᛇ | iwaz eoh | 16D7 | ᛗ | mannaz man m | 16E7 | ᛧ | short-twig-yr |
16A8 | ᚨ | ansuz a | 16B8 | ᚸ | gar | 16C8 | ᛈ | pertho peorth p | 16D8 | ᛘ | long-branch-madr m | 16E8 | ᛨ | Icelandic-yr |
16A9 | ᚩ | os o | 16B9 | ᚹ | wunjo wynn w | 16C9 | ᛉ | algiz eolhx | 16D9 | ᛙ | short-twig-madr m | 16E9 | ᛩ | q |
16AA | ᚪ | ac a | 16BA | ᚺ | haglaz h | 16CA | ᛊ | sowilo s | 16DA | ᛚ | laukaz lagu logr l | 16EA | ᛪ | x |
16AB | ᚫ | aesc | 16BB | ᚻ | haegl h | 16CB | ᛋ | sigel long-branch-sol s | 16DB | ᛛ | dotted-l | 16EB | ᛫ | single punctuation |
16AC | ᚬ | long-branch-oss o | 16BC | ᚼ | long-branch-hagall h | 16CC | ᛌ | short-twig-sol s | 16DC | ᛜ | ingwaz | 16EC | ᛬ | multiple punctuation |
16AD | ᚭ | short-twig-oss o | 16BD | ᚽ | short-twig-hagall h | 16CD | ᛍ | c | 16DD | ᛝ | ing | 16ED | ᛭ | cross punctuation |
16AE | ᚮ | o | 16BE | ᚾ | naudiz nyd naud n | 16CE | ᛎ | z | 16DE | ᛞ | dagaz daeg d | 16EE | ᛮ | arlaug symbol |
16AF | ᚯ | oe | 16BF | ᚿ | short-twig-naud n | 16CF | ᛏ | tiwaz tir tyr t | 16DF | ᛟ | othalan ethel o | 16EF | ᛯ | tvimadur symbol |
colspan="12" | | 16F0 | ᛰ | belgthor symbol |
참조
[1]
서적
[2]
논문
The Carthaginian North. Semitic influence on early Germanic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3]
서적
北極・南極探検の歴史 極限の世界を体感する19のアクティビティ
丸善出版
[4]
서적
ルーンの教え ──ルーンの魔法、歴史、そして隠されたコード──
株式会社フォーテュナ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